Notice
Recent Posts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관리 메뉴

Care Insight

전염병) RSV 증상, 치료, 예방법 (영유아 및 성인) 본문

간호사 노트/질병

전염병) RSV 증상, 치료, 예방법 (영유아 및 성인)

케어인(CI) 2025. 3. 26. 11:04
반응형

최근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영유아, 면역저하자, 노인층에서 중증 감염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한데, 최근 뉴스 기사를 보면 영유아 사례가 많다. 특히 해외여행 후 감염 사례도 보고되고 있어 감염 경로와 예방이 중요하다.

 
출처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 NFID


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 RSV 감염증의 원인과 병태 생리

 

1) 원인

  • RSV는 Paramyxoviridae(파라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로, 상·하기도 감염을 유발
  • 특히 영유아 세기관지염(bronchiolitis)와 폐렴(pneumonia)가 주요 원인

2) 감염 기전

  • RVS는 호흡기 상피세포를 감염시켜 염증 반응을 일으킴
  • 감염된 상피세포가 괴사하면서 점액 분비 증가
  • 기도 협착 및 공기 흐름 감소로 호흡곤란과 천명음이 발생
  • 산소 교환 장애로 저산소증(hypoxia)이 유발될 수 있음
  • 면역반응으로 T 세포 침윤이 발생하여 폐렴 및 심한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

 
 

◎ RSV의 감염 경로 및 전파

 

1) 병원체

  • 바이러스 표면의 F 단백질(fusion protein)이 감염된 세포끼리 융합시키는 특징이 있음
  • RSV는 A형과 B형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A형이 더 중증 경향을 보임

2) 감염경로 및 전파

  • 비말감염 : 감염자가 기침, 재채기를 할 때 나온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
  • 직접 접촉 : 바이러스가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면서 감염될 수 있음
  • 오염된 표면 접촉 : RSV는 플라스틱 표면에 최대 6시간, 피부에서는 30분 이상 생존
  • 공기 중 감염 : RSV는 공기 전파 가능성이 낮지만 병원 내 감염 환경에서는 에어로졸 발생 처치 시 전파될 위험성

특히 보육 시설, 병원, 가정 내에서 밀접 접촉으로 쉽게 감염되며 영유아와 면역저하 자는 중증 감염 위험이 높음


 
◎ RSV의 감염 증상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하기도로 진행되면 중증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

출처 : Rsv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Infographic 벡터 일러스트 레이 션. 로열티 무료 사진, 그림, 이미지 그리고 스톡포토그래피. Image 194698533

 

염 초기 (1~일)
진행기 (4~7일)
중증 RSV 감염 (면역저하자, 영유아)
  • 미열, 콧물, 코막힘
  • 인후통, 경미한 기침
  • 식욕 저하
  • 가벼운 발열
  • 기침 심화, 천명음
  • 가래 증가
  • 빠른 호흡수(tachypnea)
  • 호흡곤란 악화
  • 심한 호흡곤란(흉곽 함몰)
  • 청색증(입술, 손발 푸름)
  • 무호흡 발생 가능(특히 영아)
  • 산소포화도 저하 (SpO2 < 92%)

★ 특히 생후 6개월 미만 영아는 무호흡(Apnea) 위험이 높아 응급 상황!!

 
 

출처 :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란?

 


 

◎ RSV의 진단 및 검사

 

1) 신속 항원 검사 (Rapid Antigen Test)

  • 비인두 면봉 검체 채취
  • 검사 결과 15분 ~ 30분 내 확인 가능
  • 영유아, 입원 환자에서 주로 시행

2) PCR 검사 (유전자 증폭 검사)

  • 신속 항원 검사보다 민감도 & 특이도가 높음
  • 감염 초기에도 정확한 진단 가능
출처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SV 항원검사키트 신속검사법을 이용한 Rsv 양성검사 결과 로열티 무료 사진, 그림, 이미지 그리고 스톡포토그래피. Image 211952891

 

3) 흉부 X-ray (chest x-ray)

  • 폐렴이나 세기관지염이 의심될 경우 시행
  • 폐 과팽창, 폐음영 증가, 점액 폐색 소견

4) 혈액 검사 (CBC, CPR)

  • WBC(백혈구)는 보통 정상 또는 약간 증가
  • CRP(염증수치)는 바이러스 감염이라 보통 경미한 증가

 

◎ RSV 치료

특별한 항바이러스제가 없어 증상 완화가 치료의 중심

1) 호흡기 치료

  • 산소포화도(SpO ₂) < 92% 시 산소 공급 (nasal cannula or face mask)
  • 기도 점액 분비물이 많을 경우 네뷸라이저 치료 (Salbutamol, Epinephrine)
  • 중증 기관지염 환자는 고유량 산소요법(HFNC, High Flow Nasal Cannula) 필요

2) 해열 및 진통제

  • 고열 시 Acetaminophen(타이레놀) 또는 Ibuprofen(이부프로펜) 투여
  • Ibuprofen은 6개월 미만 영아에게 금기

3) 수액 요법 및 영양관리

  • 탈수 예방을 위해 경구 수액 또는 정맥 수액(IV fluid) 공급
  • 모유 수유 가능 시 지속하도록 권장

4) 중증 환자 대상 리바란(Ribavirin)치료

  • 면역저하자나 중증 폐렴 환자에게 제한적으로 사용
  • 항바이러스 효과는 있으나 비용이 비싸고 효과 논란 있음

 

 
◎ RSV 감염 환자의 병원 내 간호 관리

 

1) 비말 격리

  • 감염자는 개별 병실 배정 또는 동일 감염군 코호트 격리
  • 의료진은 수술용 마스크, 보호장구 착용
  • 손 위생

2) 호흡기 상태 모니터링

  • SpO2 check (92% 미만 시 O2 치료)
  • 호흡수, 호흡곤란 징후 (흉곽 함몰, 콧구멍 벌렁거림) 확인

3) 객담 배출

  • 점액 제거를 위해 체위 배액 시행
  • 필요시 기관 흡인 시행

4) 합병증 예방

  • RSV 감염 후 세균 감염(폐렴, 중이염) 발생 가능
  • 필요시 항생제 투여 고려

 

◎ RSV 감염 예방 방법

 

1) 백신 및 항체 요법

  • RSV 예방을 위한 항체 주사(팔리비주맙, 니르세비맙)가 존재
  • 미숙아, 선천성 심장질환, 만성 폐 질환 영아에서 예방적 사용 가능

2) 생활 속 예방

  • 손 씻기 및 기침 예절 철저
  • 감염 의심자와 접촉 피하기
  • 실내 환기 및 개인위생관리 강화
  • 면역저하자, 영유아는 RSV 유행 시기(겨울철) 외출 자제
출처 : 아이의 건강을 위협하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감염증’ 예방법 : 네이버 블로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