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간호사 노트/기본간호 (41)
Care Insight

지난번에는 활력징후 중 체온에 대해서 알아봤죠? 이번엔 맥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의학용어부터 알아볼게요~HR : Heart RatePR : pulse Rate간호사가 측정하는 맥박은 말초 맥박으로 심장의 좌심실 수축에 의해 만들어진 파동을 측정합니다.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맥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아시나요?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직접적인 요인교감신경심장박동과 맥박수가 상승부교감신경심장박동과 맥박수가 감소간접적인 요인 혈액량, 심장기능장애, 혈관 탄성력외적인 요인 연령 (나이가 들면 맥박수 점차 감소)체격 ( 작을수록 증가)운동, 음식, 체위(서있을 때 증가)감정 및 정신장애, 체온, 질병, 약물, 혈압(저혈압일수록 증가)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맥..

활력징후는 vital sign이라고도 합니다. 병원에서는 v/s >>이라고 기록하고, '바이탈'이라고 말합니다.얼마나 중요한지 신규 선생님들은 잘 모를 겁니다.환자의 가장 기본적인 컨디션이고 v/s에 따라 병동에서 볼 수 있느냐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하느냐가 나누어지니까요.별거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매우 중요하고 중요합니다.오늘은 v/s 중 체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병원에서 기록할 때 "BT 또는 T" 라고 합니다. BT : Body TemperatureT : Temperature 체온은 무엇일까요?신체의 열생산과 열 소실의 균형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1. 심부 체온 : 항상 일정하게 유지2. 표면 체온 : 외부환경에 따라 바뀔 수 있음그러면,,..

mental 사정에도 중요하고 expire 전 꼭 확인 해야 하는 것,뭘까요?바로 동공사이즈 확인 입니다. = pupil reflex= 동공반사= 대광반사동영상을 먼저 보고 설명 할 게요https://www.youtube.com/watch?v=iTncbhfbl6A 외국인이라 확실이 잘 보이네요오른쪽 왼쪽 빛을 비추는 눈, 빛을 비추지 않는 눈확실하에 동공이 반응하는게 보이시나요?동공의 정상반응은?빛을 비추면 동공이 수축되고 빛을 제거하면 동공이 원래 상태로 돌아옵니다. 위에 동영상 처럼..동공모양(Rt)O O(Lt)(Rt)∅ ∅(Lt)(Rt)● ●(Lt)반응promptsluggishfixed뜻수축 & 이완 정상 반응 천천히 수추& 이완 반응반응없음위에 표를 보면 알 수 있 듯이 흔히..

간호정보조사지 예시, (구글에서 가져온 이미지입니다.)history taking간호정보 조사지입원환자 history 하기요즘은 EMR로 바뀌면서 카덱스라는게 점점 없어지는 추세입니다.그러나 간호를 하려면 환자 파악이 가장 중요합니다. 병원에 입원 했다는 건 어디가 아프다거나 목적이 있어서 입원을 했을 겁니다. '왜 입원 했냐?'가 제일 중요합니다.이유는, 그에 따라 검사와 치료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입니다.알아야 간호를 할 수 있지 않을까요?환자가 입원하면 의사는 입원기록지를 남기듯간호사는 간호정보조사지를 작성 합니다. 서식은 병원마다 다르기때문에 생략 합니다. 그러나 기본 개념을 잡고 있길 바랍니다. 아래 표는 예시이니 참고용으로 보세요.(아래 내용은 카덱스에 작성할 때 방법이기도 ..

종류 )● L-tube (Levin tube) : 비위관● PEG (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둘다 튜브를 위(gastric) 까지 삽입하여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L-tube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위관영양 법이고PEG는 시술로 튜브를 삽입하여 영양을 공급합니다. 가장 쉽게 설명하면 L-tube는 콧줄 PEG는 배줄 L-tube는 1달에 한번 교체PEG 는 대략 6개월 or 1년 마다 교체 합니다. 이유는 뭘까요?당연히 감염이죠!!코로나가 현재 유행하는 시점이니 감염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 튜브를 삽입 하는 이유는 뭘까요?가장 큰 목적은음식물을 삼킬 수 없는 대상자의 경우 위..

naver에서 가지고 온 이미지 입니다.hemiplegia & hemiparesis이 두 단어의 차이를 아시나요? 어떤 경우에는 hemiplegia를, 또 다른 경우에는 hemiparesis를,, 이번을 기회로 개념 잡고 차이점을 알아두세요. Hemiplegia?한글로 말하면 , 편측마비 입니다. 말 그대로 한쪽이 마비된 경우를 말하죠=> 상지 , 하지 또는 얼굴부분의 근력저하가 한 쪽에서만 나타난 상태 입니다. 만약에 오른쪽 팔과 왼쪽 다리의 근력이 저하 되었을 경우나양측 하지의 근력이 저하 되었을 경우에는 편측 마비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뇌졸증인데안면부 편측 마비는 , 표정을 지을 때 안면 양측의 대칭 여부를 통해 판단하고 팔&다리 편측 마비는, 증상이 나타난 쪽의..
쭉~ 둘러보니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걸 안 했더군요,물론 임상에서 쓰는 의학 용어도 중요한데요병원에서는 진료과 또한 의학용어로 얘기하니꼭 아셔야 겠죠?가장 기본이고 필수입니다. 모든과를 정리한것이 아니니다 있다고 생각하심 안돼요~각자의 병원에서 있는 진료과 정도는의학용어로 꼭 익혀 두시길 바랍니다.약어full term해석EDEndocrinology 내분비내과GIGastroenterology소화기내과CACardiology심장내과IDInfectious Diseases감염내과PM / PDPulmonology호흡기내과RHRheumatology류마티스내과FMFamily Medicine가정의학과HO / ONCHemato Oncology혈액종양내과NE / NH / HPHNephrology신장내과NL/NU..

LOC : Level of consciousness Mental사정Alert자발적으로 눈을 뜨고 명령에 적절한 반응을 한다.내장과 방광 기능은 정상Drowsy자극에 눈을 뜨나 바로 수면 상태로 빠진다.자발적인 운동과 언어가 가능하고 명령에 적절한 반응을 한다. 내장과 방광 기능은 정상Stuper 자발적인 운동은 존재하나 명령에 적절한 반응은 하지 않는다. 통증 자극에 국재적 또는 회피 반응을 보인다.Semi - coma자발적인 운동은 거의 없고 통증 자극에 굴곡 혹은 신전 반사를 보인다. 내장과 방광 자동조절은 없어진다.Coma자발적인 운동은 거의 없고 통증에 대한 반응도 없다.심부건 반사, 각막 혹은 대광반사가 소실내장과 방광 자동조절은 없어진다. alertdrowsystupersemi-com..

공부 할 때 가장 싫어했던 뇌 와 신경!그림으로 쉽게 외우고 익히세요~위에 그림만 봐도 아시겠지만 다시 한번더 정리 해 보겠습니다.1. 후신경 (olfactory) : 후각, 감각신경2. 시신경 (optic) : 시각, 감각신경3. 동안신경 (oculomotor) : 안구운동, 안검 거상, 운동신경4. 활차신경 (trochear) : 안구운동, 운동신경5. 삼차신경(trigeminal) : 안분지, 상악분지, 하악분지, 감각신경6. 외전신경 (abducens) : 안구 측명 운동, 운동신경7. 안면신경 (facial) : 얼굴표정, 미각, 혀 전방 2/3, 타액분비, 눈꺼플 운동, 운동&감각 신경8. 청신경 (Vestibulo cochlear) : 청력, 평형, 감각 신경9. 설인신경 (glo..

환자 상태 변화시 중요하게 여기는 것 중에 하나!바로 motor 변화 입니다. 특히 신경과(NL) 또는 신경외과(NS)에서는각 근무별 확인해야하는 것은 물론이고내과 환자의 경우에도컨디션이 변화되거나 쳐지는 경우반드시 확인 해야 합니다.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한 환자가 가지고 있는 질환이 결국 하나가 아니고 복합적이고 다양하기 때문에내과 환자가 외과 환자 일 수도 있고외과 환자가 내과 환자 일 수도 있도 있기 때문에 모든게 하나의 잘환으로 연계 된다는 생각은 버리셔야 합니다. 암튼 서두가 길었네요~시작해 볼까요?Motor 사정Gravity 1~5해석G5Normal저항력과 중력에 대항하여 관절 운동을 한다.G4Slight weakness어느정도 저항과 중력에 대항하여 완전한 관절 운동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