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관리 메뉴

Care Insight

[기본간호] 2-1. 배뇨 본문

간호사 노트/기본간호

[기본간호] 2-1. 배뇨

케어인(CI) 2025. 4. 2. 23:52
반응형

 

 

 

(1) 신장

 

1. 단위 : 네프론(Nephrone

             → 혈액을 여과하여 대사성 노폐물을 제거

 

2. 네프론에는 Bowman주머니에 둘러싸인 모세혈관 뭉치인 Glomerulus(사구체)가 들어 있다.

 

3. 사구체 여과 물질은 구성 성분 면에서 물, 전해질, 포도당, 아미노산, 대사성 노폐물로 이루어진 혈청과 유사

 

4. 소변량의 조절

  • 뇌하수체 후엽에서 ADH가 분비되어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배뇨량을 줄인다.
  • 과다 분비 시,    소변량 ↓ 비중↑ ⇒ 무뇨, 핍뇨
  •        부족 시,    소변량 ↑ 비중↓ ⇒ 요붕증 (4000~5000cc)   *일반적으로 하루 소변량 1500cc

 

(2) 요관

  • 요관과 방광이 만나는 곳의 점막은 겹쳐져서 막 형성(방광에서 요관으로 소변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

(3) 방광

<남성·여성 비뇨 생식기 비교>

 

 

남성 여성
방광 위치 : 직장 앞, 전립선 위
요도가 길어 방광에 세균감염이 적다
ㅡ> 인공 catheter 시 길이가 길다
ㅡ> (응급상황) catheter가 빠졌을 때 즉시 재삽입

방광 위치 : 자궁과 질 앞에
임신할 경우 방광을 눌러 자주 소변을 보는 빈뇨 증상
요관 길이가 짧아 세균성 감염성
catheter 길이가 짧아 빠지면 남자만큼 위험하지 X
닦을 때 앞에서 뒤로 닦기

 

(1) 발달 단계

 

1. 영아

  • 신생아는 하루에 20회 정도 배뇨
  • 출생 직후의 소변은 무색무취이며, 요 비중은 1.008 정도
  • 신생아와 영아의 신장은 미성숙하기 때문에 소변 농축이 떨어질 수 있다.
  • 배뇨 조절 능력은 2~5세 사이에 발달
  • 밤보다는 낮에 조절하는 능력이 빨리 생긴다

2. 학령전기

  • 혼자서도 배뇨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린이는 배뇨 후 손을 씻거나 물을 내리거나 휴지로 닦는 일을 종종 잊어버린다.
  • 여아의 경우 대변으로 인해 요로가 감염되지 않도록 앞에서 뒤로 닦도록 교육

3. 학령

  • 하루에 6~8회 정도 소변
  • 유노증(Enuresis) : 배뇨조절이 가능한 시기 (약 5세) 임에도 불구하고 불수의적으로 배뇨를 하는 것
  • 야간 유노증(Nocturnal enuresis) : 밤에 자면서 이불에 배뇨하는 것
  • 2차 유뇨증(Secondary enuresis) : 스트레스나 질병 등의 신체적 문제가 있을 때 발생

4. 노인

  • 나이가 들면서 네프론의 수도 어느 정도 감소하는데 이로 인해 신장 여과 기능이 떨어진다.
  • 긴박뇨와 빈뇨증이 흔하게 나타남
  • 남자의 경우 전립선 비대, 여성의 경우 방광지지근과 요도 괄약근의 약화가 대부분 그 원인
  • 야간 빈뇨증
발달 단계에 따른 배뇨 변화
발달 단계
배뇨 변화
영아
소변 농축 능력이 거의 없으므로 옅은 황색의 소변
신경근육이 성숙되지 않았으므로 배뇨조절이 잘 안된다.
아동
1~2세
소변 농축이 효과적으로 되며 소변은 정상적인 황색
18~24개월
방광이 찬 것을 느끼고 소변을 참을 수 있게 된다.
4~5세
배뇨조절이 완전히 가능하다
성인
50세가 넘으면 네프론의 손실
노인
80세까지 네프론의 약 30%가 손실
소변 농축 능력이 감소
배뇨 후에도 잔뇨가 남으며 세균 성장과 감염의 위험성 증가
정상은 없거나 30cc 이하, 비정상은 30cc 이상
요실금

 

 

(2) 심리 사회적 요인

  • 시간이 날 때까지 요의를 무시하고 일한다.

 

(3) 수분과 음식의 섭취

  • 술과 같은 특정 음료는 항이뇨호르몬의 생산을 억제 → 수분 배설량 증가
  • 카페인 함유 음료도 소변 생산 증가

 

(4) 약물

  • 이뇨제 : 신장의 세관에서 수분을 흡수해서 혈류로 보내는 과정 방해 소변량 증가

 

(5) 근육 긴장도

  • 근육긴장도가 좋으면 방광근의 이완력과 수축력이 좋으므로 방광에는 소변이 적절하게 차고 완전히 비워진다.
  • 정체 도뇨관이 있으면 소변이 계속 빠져나가 방광이 차거나 비워지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방광의 긴장도 저하

 

(6) 병리학적 요인

  • 신경질환은 네프론의 소변 생성 능력에 영향을 준다. 
  • 신부전, 쇼크, 고혈압 등 심장과 혈관질환도 신장 혈류에 이상을 일으켜 소변 생성을 방해
  • 열이나 구토로 수분 손실이 비정상적으로 일어나며 배뇨량 감소
  • 결석이나 요관을 막아 소변이 신장에서 방광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해
  • 전립선 비대는 나이 든 남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현상인데 요도를 막아 배뇨나 방광 비우기를 방해

 

(1) 다뇨증 : Polyuria

 

  • 다뇨증 or 이뇨증 : 정상 소변보다 몇 리터 더 많이 생산되는 것
  • 다 갈증 (수분의 과다 섭취), 당뇨, 요붕증, 만성 신장염 등의 질환이라도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음
  • 과도한 수분 손실, 심한 갈증, 체중 감소 초래

 

(2) 핍뇨증과 무뇨증

    • 핍뇨증(Oliguria) : 하루 소변량이 500mL 미만 또는 시간당 소변량이 30mL 미만인 경우
    • 무뇨증(anuria) : 소변이 아예 생산되지 않는 경우
    • 신장이 제 기능을 할 수 없으면 혈액을 여과하는 장비가 있어야만 질병과 사망 예방   →  신장 투석 (혈액 투석, 복막투석) : 체액과 분자가 삼투압 원리를 이용해 반투막을 지나면 이뤄짐

 

(1) 빈뇨와 야뇨

  • 빈뇨 (urinary frequency) : 평상시 보다 배뇨를 자주 하는 증상
  • 야뇨 (Nocturia) : 밤에 두 번 이상 배뇨 하는 것

(2) 긴박뇨 (Urgency)

  • 배뇨를 꼭 해야 하는 느낌이 드는 것
  • 어린이의 경우 일반적으로 나타남

(3) 배뇨곤란 ( Dysuria)

  • 배뇨를 할 때 통증을 느끼거나 배뇨가 힘든 경우

(4) 배뇨지연 ( Urinary Hesitancy )

  • 배뇨 시작이 지연되거나 어려운 경우 (예: 전립선 비대증)

(5) 유뇨증 ( Enuresis)

  • 배뇨를 스스로 조절할 나이인 4~5세가 지났는데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
  • 비정기적으로 나타나며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나타남
  • 주간 유뇨증( Diurnal enuresis) 은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병적인 원인 일 수도 있다.

(6) 요 정체

  • Urinary reterntion : 방광을 비우는데 문제가 생기면 소변은 정체되고 방광은 과도하게 팽창
  • 일반적 요인 : 전립선 비대, 수술, 일부 약물
  • 방광을 만져보면 딱딱하고 팽창되어 있으며 복부의 중앙에서 안쪽으로 치우쳐 있을 수도 있다.

(7) 요실금 ( Urinary Incontinence)

  • 질병이 아닌 증상

(8) 신경인성 방광 ( Neurogenic Bladder

  • 신경인성 장애는 정상적인 배뇨 전에 장애를 일으켜 초래
  • 방광이 찬 것을 느끼지 못하고 배뇨 괄약근 조절 X
배뇨 장애의 관련 요인
증상
관련 요인
다뇨
카페인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 섭취, 이뇨제 복용, 갈증·탈수·체중 감소,
당뇨·요붕증, 신장장애
핍뇨, 무뇨
수분 섭취 감소, 탈수, BUN과 혈청 크레아티닌의 수치 상승, 부종
빈뇨, 야뇨
임신, 수분 섭취 증가, 요로 감염
긴박뇨
스트레스
배뇨 곤란
요로 겸증, 감염, 혈뇨, 농뇨(소변 내 고름)
요실금
기침할 때, 웃을 때, 재채기할 때
소변 정체
촉진이나 타진해 보았을 때 방광이 팽창, 회음부 통증, 불안, 빈뇨, 핍뇨, 마취
프라이버시가 제공되지 않거나 배뇨를 방해하는 기타 요인

 

 

정상 소변과 비정상 소변의 특징
특징
정상
비정상
주의점
하루 소변량
1.200~1.500mL
1.200mL 미만 : 신부전
시간당 소변량이 30mL 미만이면
신장혈류량 감소
섭취량을 초과 : 당뇨, 요붕증
 
색, 투명도
담황색, 투명함
진황색 : 수분 섭취 ↓
 
탁함 : 감염
 
어두운 주황색 : Tb drug
 
붉은색 또는 어두운 갈색 : 혈뇨
 
점액 있음, 끈적함, 진함 : 감염
 
냄새
약함
자극적임 : 감염
고름 냄새, 단내
세균
없음
있음 : 소변 배양 검사
 
PH
1.010~1.025
1.025 초과 : ADH 많이 분비
 
1.010 미만 : ADH 적게 분비
 
없음
있음
지방의 최종산물
케톤은 당뇨병 환자
기아 상태의 환자
혈액
없음
잠혈(현미경) 출혈
 
선홍색
 
단백질
없음
있음(사구체 손상)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분류
기능적 요실금
(functional)
정의
비뇨기계나 신경계에 문제가 없는 불수의적으로 나타나는 예측할 수 없는 소변
증상
소변기를 대기전에 강한 긴박감으로 소변 배출
원인
환경적인 변화, 감각인지에 대한 운동 부족
신경인성 요실금
(Reflex)
정의
방광에 예측 가능한 간격으로 일어나는 불수의적 소변 배출
증상
방광 팽만에 대한 지식 부족, 긴반뇨는 나타나지 않음
규칙적인 간격으로 불가피한 방광 수축 : 경축 현상
원인
상부나 하부의 척수 손상
복압성 요실금
(Stress)
정의
스트레스성 요실금
복압 증가로 소변이 조금씩 흐르는 것
증상
복압 증가와 함께 소변, 긴박요, 빈뇨
원인
기침, 웃음, 구토, 방광 팽만 시 움직임, 임신 3기, 골반근육의 약화
전 요실금
(Total)
정의
완전하게 조절 불가능, 소변 배출
증상
예측할 수 없는 소변, 야뇨증, 실금, 방광 팽만 자극 부족
원인
감각 신경의 병변, 척수 신경이나 요도 괄약근에 손상이나 질병이 있을 때
방광과 질 사이에 누공
긴박성 요실금
(urgency)
정의
배뇨를 위한 긴박감 후에 불수의적으로 요 배출
증상
긴박요, 비정상적 뇨배출
2시간 보다 더 자주, 야뇨증, 소변량이 100cc 이하 or 500cc 이상
원인
알코올, 카페인, 수분 섭취 과다 증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