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관리 메뉴

Care Insight

투약) 7-7. 정맥 주사, IntraVenous Injection, IV 본문

간호사 노트/기본간호

투약) 7-7. 정맥 주사, IntraVenous Injection, IV

케어인(CI) 2025. 3. 14. 01:44
반응형

 

 

의학용어 : IV

IntraVenous Injetion

혈관에 놓는 주사!

 

혈관 주사는 바로 몸속 피와 희석되어 약물을 운반하기에 가장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주사입니다.

그래서 응급상황에는 정맥 확보가 중요하고 확보된 정맥으로 응급약이 투약되면서 CPR을 하게 됩니다.

바로 심장으로 혈액이 도달하기 때문에 어떤 약물도 바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사를 줄 때 IV로만 줄 수 있는 주사인지, IM으로만 줄 수 있는 주사인지 아님 IV & IM 둘 다 줄 수 있는 주사인지

꼭 확인해야 하고  고위험 약물일 경우 (예: KCL) 절대 IV shooting으로 주거나 IV side로 주면 환자가 사망 할 수도 있다.

 

 

IV 투약 내용에 들어가기 전에

혈관이 어느 정도 깊이(?)에 있는지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프리미엄 조선'에서 가지고 온 이미지입니다.

그림 순서 대로 보면

IM / SC / IV / ID

90도 / 45도 / 30도 / 10도

환자에 따라 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

 

너무 마른 체형이거나 너무 뚱뚱한 체형이라면 주사 주는 방법에 따라 각도를 조절해서 injec 해야한다.

 

 

혈관이 피부 어느 정도 깊이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았으면 IV 할 때 혈관이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고 혈관이 보이지 않는 환자에게 주사할때 혈관이 있을 위치에서 찾아야 한다.

 

혈관 위치와 IV angio catheter에 대해서는 초반에 정리해 놓은 게 있으니 기억이 나지 않으면 아래 링크를 클릭 !!

 

https://chocomonster.tistory.com/entry/%EC%A3%BC%EC%82%AC-%ED%98%88%EA%B4%80-%EC%A3%BC%EC%82%AC-%EB%B6%80%EC%9C%84IV-IntraVein

 

주사> 혈관 주사 부위(IV: IntraVein)

혈관주사가 IV라는건 다들 아시죠? 보통 선생님들이 처방을 주면서 'OOO님 (약명칭) IV로 주세요' 이렇게 지시를 많이 하는데요, fluid 를 맞고 있는경우는 side로 주면 되지만 맞지 않고 있거나 주사

chocomonster.tistory.com

 

 


1. 혈관의 위치

 

 

 

 

 

2. 정맥 주사의 목적

약물의 최대 효과를 즉시 얻기 위해

 

 

3. 정맥주사 사정

  • 정맥주사 삽입 부위에 이상 징후(감염, 침윤, 카테터 위치)가 있는지 시진 및 촉진 
  • 주사부위 주변 피부에 이상 징후( 발적, 창백, 종창 )있는지 시진
  • 수액이 조직으로 새는 것 같은 냉증이나 부종 있는지 확인
  • 활력징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일 경우
  • 투약 전과 투약 후 활력징후를 측정
  • 대상자가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있는지 확인
  • 약물과 수액의 적합성 확인
  • 약물의 작용, 부작용, 정상 용량, 적정 투여 시간,
  • 최대 효과를 나타내는 시간을 확인
  • fluid 주입속도를 사정하여 수액이 잘 들어가는지 확인

 

 

4. 계획

위임)

  •  간호 지식과 비판적 사고 필요
  • 무균술 지키기
  • 무면허 보조인 위임 X : 무면허 보조인에게 알레르기 반응의 증상에 대해 설명한 뒤 그런 반응이 나타나면 간호사에게                                       즉시 보고하도록 한다.

준비물품)

이미 확보된 정맥로에 주사할 경우

- 바이알이나 앰플에 든 약물

- 멸균 주사기 (3~10cc) (약물 준비용)

- 21~25 gauge 정도 멸균 바늘

- 알코올 솜

 

IV lock에 주사할 경우 (heparine lock)

- 바이알이나 앰플이 든 약물

- 멸균 주사기 (3~10cc) (약물 준비용)

- saline 이 든 멸균 주사기  (IV 개방성 확인 및 유지)

● 알코올 솜

 

 

5. 수행

준비)

● 투약 처방을 확인한다.

- 정확한 약물이 준비되었는지 확인한다.

- 약물을 투여하기 전에 약물을 최소 3번을 확인한다.

                                             ① 투약 카트에서 약을 꺼낼 때​

                                             ② 약물을 재기 전

                                             ③ 약물을 잰 후 약물 라벨 확인

- 약물 용량을 정확하게 계산한다.

- 투약 경로를 확인한다 : IM, IV, SC, ID

- 필요한 물품을 준비

수행)

  • 손을 씻고 무균술 지킨다.
  • 약물 준비
    IV lock에 주사를 할 경우
    ⓐ 생리식염수로 세척할 경우
       - 멸균 생리식염수로 1cc가 들어있는 주사기 2개를 준비
    ⓑ 헤파린 생리식염수로 세척할 경우
       - 멸균 생리식염수 1cc가 들어있는 주사기 2개를 준비
       - 투약할 약물을 주사기에 뽑는다.

 


IV Lock Injection


●  바늘이 달린 주사기를 사용할 경우, 주삿바늘을 주사기에 연결
● 손 위생

● 대상자 준비시키기

      - 환자 확인하기 : 개방형 질문으로

      - 투약에 대한 작용, 부작용을 사정한다.

●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투약의 목적과 효과를 설명

● 일회용 정맥주사로 투약

● 알코올 솜으로 주사기 주입구 소독

● 주사 주입구의 중앙에 생리식염수가 든 주사기의 바늘을 삽입하고  혈액을 흡인해 본다. (→ IV line이 제대로 확보되었는지 확인 )

● 생리식염수 1cc를 천천히 주사하여 IV lock을 세척한다.

● 주사기와 바늘을 뺀다.

● 알코올 솜으로 IV lock의 주사 주입구를 다시 소독

● 준비된 약물을 주사기 주입구로 투약한다.  (약물을 너무 빨리 주입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천천히 주입)

● 약물이 다 주입되면 주사기와 바늘을 뺀다.

● IV lock 주사기 주입구를 다시 알코올 솜으로 소독한다.

● 생리식염수가 든 두 번째 주사기를 주입구에 끼우고,  생리식염수를 주입한다.

       (→ 약물이 IV lock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saline을 주입하면서  정확한 약물 용량이 환자에게 투여 되어야 하고  다음 주사
              투여 시까지 혈관 확보가 잘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함 )

 

 

 

 

Fluid side Injection


● IV line에 주사 주입구를 확인 : 2-way, 3-way line

● 알코올 솜으로 주사 주입구를 닦는다.

● IV line에 수액 조절기를 잠그거나  주사 주입구 위쪽을 손으로 꺾어 잡아 fluid가 들어가지 않게 한다.


 

 

 

 

 

● 주사기 주입구에 주입하고자 하는 약물 주사기와 주삿바늘을 삽입.

● 투약하고자 하는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다.  (fluid line은 꺾은 채로 ..)

● 투약이 다 되고 나면 주사기를 뺀다.

● 알코올 솜으로 주입구를 소독한다.

fluid line 조절기로 line에 있는 약물이 혈관으로 주입될 수 있게  속도 조절하고 약물이 혈관으로 주입 다 되었다고 판단

   되면  다시 fluid 주입 속도를 원래대로 맞춰둔다.

● 대상자가 부작용을 보이는지 관찰한다.

 

 

★ IV 유지 할 수 있는 시간은 48~72 시간.

병원마다 방침의 차이는 있으니 각자의 병원에 맞게 하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