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 Insight
해외여행 후 발열 & 발진? 홍역 초기 증상과 대처법 본문
최근 베트남 여행 후 홍역에 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병으로 면역력이 없는 경우 노출 시 감염 확률이 90% 이상일 정도로 강한 전파력을 가진다.
이렇게 위험한 감염병인 홍역에 걸리지 않기 위해 예방만큼 중요한 것은 없지만 만일 하나 홍역에 걸렸다면? 또는 홍역이 의심된다면...? 홍역에 대해 알아보고 혹시 해외 여행 계획이 있다면 홍역 예방접종은 했는지 꼭 확인 해 보길 바란다.
홍역 예방 접종을 했는지 확인 하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홍역 (measles) 이란?
paramyxoviridas(파라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Morbilivirus(모빌리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고 전염성 바이러스 감염 질환
◈ 홍역의 발병기전
홍역 바이러스는 음성 단일 가닥 RNA(-ssRNA) 바이러스로 외피를 가지며 표면에 Hemagglutinin(H)과 Fusion(F) 단백질을 보유.
1) 1차 감염
- 바이러스는 비말 및 접촉 전파를 통해 비인두와 상기도 점막의 상피세포를 감염시킴
- 이후 국소 림프절로 이동하여 수지상세포 및 단핵구를 감염시키고 림프절에서 증식
2) 2차 바이러스 혈증(primary viremia, 감염 2 ~ 3일 후)
- 감염된 단핵구를 통해 비장(spleen), 골수(bone marrow), 간(liver), 폐(alveolar macrophage) 등 전신 림프 조직으로 확산
- CD150(SLAM, Signaling Lyphocytic Activation Moleucle) 수용체를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표적으로 감염을 확장 시킴
3) 3차 바이러스 혈증 (secondary viremia, 감염 5 ~7일 후)
- 혈류를 통해 피부, 점막, 소화기게, 신경계로 확산 ⇒ 홍역의 전형적인 발진(exanthem)과 전신증상(fever, cough, conjunctivitis 등)이 나타남
- 면역반응이 바이러스를 제거하면서 홍역 발진이 나타남
◈ 원인균 및 감염 경로
1) 원인균
- 홍역 바이러스 (Measles virus, MV)
- Paramyxoviridae(파라믹소바이러스) 계열의 Morbillivirus(모빌리바이러스감)
- 숙주 : 인간만을 숙주로 가지며, 자연 숙주는 존재하지 않음
- 핵심 단백질
- H 단백질(Hemagglutinin) :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와 결함
- F 단백질(Fusion): 감염 후 세포 융합을 유도하여 다핵 거대세포 형성
2) 감염 경로
1. 비말(공기) 감염
-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대화 중 배출된 비말을 흡인할 경우 감염
- 바이러스는 공중에서 최대 2시간 생존 가능하며 밀폐된 공간에서는 간접 노출로도 감염될 수 있음
2. 접촉 감염
- 바이러스가 묻은 손이나 오염된 물체(문 손잡이, 책상 등)를 만진 후 눈, 코, 입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 있음
3. 전염력
- 감염자의 90% 이상이 감염될 정도로 매우 높은 전파력을 가짐
- 잠복기 동안에도 감염력이 존재, 발진 발생 4일 전부터 발진 후 4 ~5일까지 전염력 유지
◈ 홍역의 증상 및 진행 단계
1) 잠복기 : 10 ~ 14일
- 무증상 상태로 바이러스가 상기도 및 림프조직에서 증식하는 단계
2) 전구기 : 약 3 ~ 5일 (증상 발현)
- 고열(38~40°C), 기침(cough), 콧물(Rhinorrhea), 결막염(Conjunctivitis) 발생
- 입안 점막에 코플릭 반점(Koplik spots, 회백색 반점)이 발생 (발진 1~2일 전)
- 증상이 독감과 유사하여 초기 진단이 어려울 수 있음
3) 발진기 : 약 5 ~ 6 일
- 얼굴에서 시작해 몸통 → 팔 & 다리 → 손 &발 순으로 홍반성 반점(Pink maculopapular rash)이 퍼짐
- 발진은 서로 합쳐지면서 광범위한 홍반 형태를 보이며 점차 갈색으로 변하며 회복됨
◈ 홍역의 진단 방법
1) 임상적 진단
● 주요 증상 : 고열 + 발진 + 기침 / 결막염/ 콧물
● 입안의 점막의 코플릭 반점 확인
2) lab
● 홍역 특이 Ig M 항체 검사(ELISA) : 혈액에서 lg M 항체 검출 시 확진
● RT-PCR 검사 : 홍역 바이러스의 RNA 검출 (비인두 도말, 혈액, 소변 검사)
◈ 홍역 환자의 입원 방침
홍역은 공기감염이 주요 전파 경로이므로 병원에 입원 시 격리 조치를 함
1) 격리 유형
● 공기 감염 격리 적용
- 음압격리병실
- 입원 후 최소 4 ~5일간 격리 유지 (면역저하 자는 바이러스 배출 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격리가 더 필요함)
2) 의료진 보호 조치
● N95 마스크 또는 FFP2 이상 필터링 마스크 착용
● 홍역 면역력이 없는 의료진은 환자 접촉 금치
● 손 위생 철저히
3) 병실 환경 관리
● 공기 정화 시스템 가동 (HEPA 필터 사용)
● 홍역 바이러스는 공기 중 최대 2시간 생존 가능하므로 환자 퇴실 후 충분한 환기가 필요
◈ 입원 시 치료 및 약물 요법
1) 대증 치료 (supportive care)
홍영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는 없으며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
1. 해열 및 통증 조절
● 고열(>38.5°C) 시 해열제 투여
- Acetaminophen (타이레놀) 10-15mg/kg q 4-6hr PRN
- Lbuprofen(이부프로펜 ) 5-10mg/kg q 6-8hr PRN (6개월 미만 영아는 금기)
● 고열로 인한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수액 요법 병행
2. 수액 및 전해질 보충
● IV fluid infusion
● N/S IV 공금 : 탈수 징후 모니터링
3. 비타민 A 보충 (WHO 권장)
● 면역기능 강화 및 합병증 예방 목적
● 6개월 이상 환자 : 200,000 IU를 24시간 간격으로 2회 투여
● 6개월 미만 영아 : 100,000 IU 투여
4. 이차 감염 예방
● 폐렴(Pneumonia) : 산소 치료(O2) 필요시 산소 공금
● 뇌염(Encephalitis) : 고용량 스테로이드 및 항경련 제(phenytoin, Lorazepam) 투여
● 기관지염(Bronchitis) : 기도 분비물 관리 및 필요시 기관 흡인
★ MMR 백신이 홍역 예방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 홍역 환자의 병원 내 간호 관리
1) 활력징후(vital signs) 모니터링
● 고열 지속 여부 체크
● 호흡기 상태 평가 (호흡수, SpO2 측정) : 저산소증 발생 시 산소 공급
● 탈수 징후(점막 건조, 핍뇨) 모니터링
2) 호흡기 간호
● 기침 및 가래가 심할 경우, 기도 청결 유지를 위한 간호 제공
● 객담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수분 섭취 유도 및 체위 배액 시행
● 호흡곤란 발생 시 산소 요법 적용
3) 피부 및 점막 간호
● 발진 부위 가려움 관리 : 로션(칼라민 로션) 도포, 손톱 단축, 긁지 않도록 교육
● 결막염 예방을 위해 인공눈물 사용 및 눈 분비물 제거
4) 영양 관리
● 발열로 인해 기초 대사량 증가 : 고열량, 고단백 식이 제공
● 연하곤란이 있는 경우 연하 보조식이나 TPN 고려
5) 격리 해제 기준
● 발진 발생 4일 후부터 전염력이 감소
● 면역저하자의 경우 바이러스 배출 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추가 격리 필요
★ 해외여행 후 발열 및 발진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세요! ★
◈ 퇴원 후 관리 및 예방
1) 퇴원 후 생활 관리
● 홍역 회복 후 면역력이 형성되므로 추가적인 백신 접종은 필요 없음.
● 면역력이 약한 사람(임산부, 영유아, 면역저하자)과 접촉 주의.
● 충분한 휴식 및 균형 잡힌 식사 유지.
2) 가족 및 보호자 교육
● 가족 중 면역력이 없는 사람은 MMR 백신 접종 필수!
● 손 씻기, 기침 예절 준수로 추가 감염 방지.
● 합병증(발열 지속, 호흡곤란, 경련 등)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3) MMR 백신 접종 일정 확인
● 생후 12~15개월: 1차 접종
● 만 4~6세: 2차 접종
● 면역력이 없는 성인: 최소 1회 접종 권장 (특히 해외여행 전)
홍역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면 공기 감염 격리, 대증 치료, 면밀한 간호 관리가 이루어집니다. 특히 고열, 탈수, 호흡기 증상 및 합병증 관리가 중요하며, 퇴원 후에도 충분한 회복과 전염 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간호사 노트 >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 뉴모바이러스 증상부터 치료, 예방법까지 - 소아 및 성인 감염 가이드 (2) | 2025.03.25 |
---|---|
백혈병 (Leukemia) (0) | 2025.03.24 |
ED. 내분비 내과> DM : Diabetes Mellitus, Diabetes (0) | 2024.02.09 |
GI. 소화기 내과 > GOO : Gastric Oulet Obstruction (2) | 2024.02.08 |
혈압> 고혈압 (Hypertension) (1) | 202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