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 Insight

1. 4단계1단계. 마취유도기 : (진통, 진정, 이완), 청력 강화2단계. 흥분기 : (흥분, 섬망) 불규칙한 호흡, 사지의 불수의적 움직임3단계. 외과적 수술기 : 반사 소실, 규칙 호흡, 청력 · 감각 소실4단계. 위험기 : 호흡부전, 심장마비, 사망2. 흡입장점 : 효과 빠름, 시간 절약, 독성↓, 근이완제단점 : 기억상실, 화학적으로 안정성 X, 구토, 기관삽관에 따른 합병증, 후두경련3. IV장점 : 수액만 있으면 간편, 대상자의 거부감 X, 신경자극 X, 독성↓, 구토↓단점 : 조절성 ↓, 용량 · 마취 · 대상자에 따라 각성 상태가 다르게 나타남, 시간 조절 어려움 1. L3 ~ L4 사이에 지주막하강 2. 횡격막 이하 부위의 대수술, 하지 수술 or 자궁 적출술 3. position :..

1. 수술의 목적진단적 수술탐색적 수술치료적 수술 : 절제술, 교정술, 재구성술예방적 수술고시적 수술미용적 수술2. 위험도대수술소수술 3. 수술 범위최소 침습적단순 수술근치 수술 4. 긴급도응급긴급계획선택임의 수술 1. staff 교육, 대상자와 교육2. 지지와 안심, 옹호3. 환경 조성, 기구의 효율적 제공, 무균술 유지4. 신체적 · 심리적 상태 사정5. 보조인력 감독6. 현재 · 미래 수술 실무 발전을 위한 노력7. 관련 연구 협조와 의뢰를 통한 다학제 간 통합 1. 수술 전 간호입원 · 통원 수술 센터간호력 신체 검진수술 동의서진단 검사 : lab , x-ray, EKG수술 전 교육개인위생, 영적 간호2. 수술 중 간호수술실로 이동마취, 절개 전 피부 준비, 방포수술 과정 : 조명, 기구 관..

(1) 신장 1. 단위 : 네프론(Nephrone) → 혈액을 여과하여 대사성 노폐물을 제거 2. 네프론에는 Bowman주머니에 둘러싸인 모세혈관 뭉치인 Glomerulus(사구체)가 들어 있다. 3. 사구체 여과 물질은 구성 성분 면에서 물, 전해질, 포도당, 아미노산, 대사성 노폐물로 이루어진 혈청과 유사 4. 소변량의 조절뇌하수체 후엽에서 ADH가 분비되어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배뇨량을 줄인다.과다 분비 시, 소변량 ↓ 비중↑ ⇒ 무뇨, 핍뇨 부족 시, 소변량 ↑ 비중↓ ⇒ 요붕증 (4000~5000cc) *일반적으로 하루 소변량 1500cc (2) 요관요관과 방광이 만나는 곳의 점막은 겹쳐져서 막 형성(방광에서 요관으로 소변이 역류되는 것을 방..

소아 폐렴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하기도 감염 질환이며, 폐포(Alveoli)와 세기관지(Bronchioles)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감기와 비슷하게 시작되지만 진행되면 호흡부전, 패혈증, 심한 경우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소아 폐렴이란?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어린아이는 면역력이 약해서 바이러스, 세육, 곰팡이 감염 등 쉽게 걸릴 수 있음가벼운 경우 : 감기처럼 열나고 기침함심한 경우 : 호흡이 어려워지고 입원이 필요 ◈ 소아 폐렴의 병태 생리(pathophysiology of pediatric pneumonia) 1) 감염이 폐로 침투상기도(코, 인후)에서 병원균이 침투하여 폐포와 세기관지로 전파.감염 경로: 흡입(Inhalation), 혈행(혈액을 통한 전파), 직접 전파2) 면역반응 ..

드라마 속 '숨병', 실제로는 '잠수병(감압병)'최근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등장한 해녀의 숨병이 화제가 되고 있다. 해녀들이 물질 후 경험하는 #숨병은 사실상 #잠수병(#감압병, Decompression Sickness, DCS)으로 볼 수 있다.잠수병은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심하면 신경 손상, 마비, 심폐 기능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이번 글에서는 잠수병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치료, 간호 및 예방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자. 숨병잠수병Decompression Sickness (DCS)감압병 ◎ 잠수병(감압병, Decompression Sickness, DCS) 개요 잠수 후 몸이 이상해지는 증상으로 바닷속 깊이 들어갔다가 갑자기 나오면 몸속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최근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영유아, 면역저하자, 노인층에서 중증 감염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한데, 최근 뉴스 기사를 보면 영유아 사례가 많다. 특히 해외여행 후 감염 사례도 보고되고 있어 감염 경로와 예방이 중요하다. 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 RSV 감염증의 원인과 병태 생리 1) 원인RSV는 Paramyxoviridae(파라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로, 상·하기도 감염을 유발특히 영유아 세기관지염(bronchiolitis)와 폐렴(pneumonia)가 주요 원인2) 감염 기전RV..